(210909)코로나와 함께 사는 삶, 위드 코로나
2021년
9월
작성자
김예진
작성일
2022-12-29 03:31
조회
13
▲ 주요국 코로나19 백신 접종률
9월 7일 오전 코로나19 백신 1차 접종률이 국내 백신 접종 시작 6개월 만에 60%를 넘어섰다.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에 따르면 7일 오전 10시 30분 코로나19 백신 누적 1차 접종자 수는 3,087만 8,725명으로 집계되었고, 2차까지 백신 접종 완료한 사람도 총 1,850만 8,241명으로 36%가 집계되었다. 이대로라면 추석 전까지 전 국민 70%가 1차 접종을 마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더 나아가 방역 당국은 전 국민 1차 접종 70% 달성과 동시에 10월 말부터 ‘위드 코로나’까지 가능하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 위드코로나
위드 코로나란 코로나19 팬데믹이 장기화되면서 떠오르고 있는 개념으로, 코로나19의 완전 종식을 기대하는 것보다 그에 대한 인식과 방역 체계를 완화해 코로나19와의 공존을 준비해야 한다는 것을 말한다. 즉, 코로나19의 완전 퇴치는 힘들다는 것을 인정하고 국민들의 일상과 침체된 경제를 회복하기 위해 새로운 방역 체계가 필요하다는 개념이다.
코로나19 백신이 개발되고 각국에서 접종이 시작되면서 코로나19의 종식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지만, 변이 바이러스의 출몰이나 백신 접종을 완료한 사람도 감염이 되는 돌파 감염 사례가 나타나면서 위드 코로나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더욱 커지고 있다.
실제로 영국, 이스라엘 등 높은 백신 접종률을 기록하고 있는 국가들은 기존의 방역 체계가 더 지속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라 사회적 거리두기와 관련된 방역지침을 완화했다. 특히 영국은 2021년 7월 19일부터 방역규칙을 전면 완화해 ‘위드 코로나’ 삶에 돌입했고 싱가포르, 프랑스, 독일, 덴마크 등 주요 국가에서 위드 코로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 정은경 질병관리청장
대한민국은 ‘위드 코로나’ 전환 시점을 10월 말로 예측하고 있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9월 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 회의에서 10월 말까지는 위드 코로나 전환을 최대한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이미 위드 코로나를 시행한 영국, 미국 등의 임상적인 결과나 데이터들을 좀 더 자세히 지켜보면서 세부 계획을 세우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 손영래 사회전략반장
또한,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도 마찬가지로 9월 8일 정례 브리핑에서 방역체계 전환 시점 관련 질의에 “예방접종이 확대됨에 따라 전파 차단 효과와 위중증, 치명률 감소 효과가 본격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접종 후 면역이 형성되는 상황을 지켜보며 11월부터 위드 코로나를 적용할 예정이므로 9월 방역 상황이 상당히 중요하다.”라고 답했다.
▲ 위드 코로나 전환에 대한 국민 여론조사 결과
한편, 국민들은 일상생활이 가능한 정도로 코로나19 유행을 통제하는 위드 코로나 전환에 국민의 70% 이상이 찬성했다. 지난 7일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는 지난 8월 30일부터 3일간 성인남녀 1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대국민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 위드 코로나 전환 동의 여부를 묻는 문항에서 ‘매우 찬성한다’를 20.2%가, ‘대체로 찬성한다’를 53.1%가 응답하면서 73.3%가 위드 코로나에 찬성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독감 수준으로 코로나19를 관리하자는 주장에 부정적인 입장을 드러내고 있다. 접종률 80%에 도달한 싱가포르와 아랍에미리트 등에서 돌파 감염 사례가 나오는 등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가 나올 가능성이 있는 만큼 백신 접종률만 높인다고 방역에 성공할 수 없을 것이라는 우려 또한 나오고 있다.
위드 코로나의 삶으로 전환될 수 있는 계획이 발표된 만큼 개인 방역과 방역 수칙을 더욱 확실히 지켜야 할 것으로 보인다.

사진 출처
https://view.asiae.co.kr/article/2021090810430387793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481349&cid=42107&categoryId=42107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6245431&code=61121111&cp=nv
https://news.imaeil.com/Society/2021090812321156121
https://www.yna.co.kr/view/AKR20210907068700530?input=1195m
전체 0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