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웹진거북이

(200703)도전.한국 대국민 아이디어 공모전 안내

2020년
7월
작성자
권 미경
작성일
2023-01-01 20:54
조회
8
창의성을 활용하여 과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2020년 정부혁신 핵심과제인 국민참여 사회문제 해결 공모사업 제1회 도전.한국」 대국민 아이디어 공모를 시행한다.

1회 도전.한국 대국민 아이디어 공모전(포스터_광화문1번가용)

 

공모기간은 6월 15일부터 9월 15일까지이다. 총 3개월 동안 실시하는 이번 공모전은 관심 있는 국민과 기업 또는 단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과제별 소관 부처 및 산하 공공기관 구성원의 아이디어가 선정된 경우 포상은 배제하고 표창만 실시한다. 다만, 타 부처 공무원은 포상할 수 있다.

과제는 총 9개가 있다. 먼저 첫 번째, 디지털 기술 등을 활용하여 반려견, 반려묘 유기를 예방하거나 동물 등록제를 활성화 하는 방안이다. 단, 동물 유기, 등록제 누락 시 과태료 부과 등 기존에 활용하고 있는 방식은 제외한다. 기존에 활용하고 있는 방식이더라도, 새로운 방식을 적용하여 혁신적, 획기적으로 발전‧보완시킨 기술 방안은 응모할 수 있다. 디지털 기술 등을 활용, 반려견, 반려묘를 유기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이 포함되거나 기존에 시행 중인 “동물등록제(반려견 등록 의무제)”와 연계하여 동물 등록을 활성화 하는 방안을 포함해야 한다. 이 과제는 B등급으로, 3천만 원의 포상금을 지급한다.

두 번째는, 바다에 가라앉아 있는(침적) 쓰레기(예:플라스틱 쓰레기, 폐그물 등)를 비용 측면에서 효율적으로 탐지하고 제거할 수 있는 기술적 방안이다. 기존 침적쓰레기 수거사업으로 수거가 어려웠던 30m(잠수부 투입 한계)~300m(근해 어업 최대 수심) 수심층을 대상으로 한다. 현재 기술적으로 구현 및 추진되고 있는 방식은 제외한다. 다만, 기존에 활용하고 있는 방식이더라도, 새로운 방식을 적용하여 혁신적, 획기적으로 발전‧보완시킨 기술 방안은 응모할 수 있다. 침적 쓰레기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바다에 가라앉아 있는 침적 쓰레기를 탐지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구체적 설계도, 해양 쓰레기 탐지 후 이를 제거할 수 있는 도구 및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적 방안 내용을 포함해야 한다. 이 과제는 A등급으로, 5천만 원의 포상금을 지급한다.

세 번째, 단속이 아닌 넛지 방식 (보상 및 유인 등) 등을 활용하여, 지정된 쓰레기 배출장소가 아닌 곳에 상습적으로 쓰레기를 배출하는 취약지역 (예: 다가구주택(원룸, 빌라) 밀집지역 등)에 쓰레기 불법투기를 감소시키는 방안이다. CCTV, 과태료부과, 상시 단속반 등 기존에 활용하고 있는 감시, 처벌 등 규제 중심의 방식은 제외한다. 또한, 화단조성‧로고라이트 활용 등 기존에 지자체에서 실시하고 있는 방식도 제외한다. 다만, 기존에 활용하고 있는 방식이더라도, 새로운 방식을 적용하여 혁신적, 획기적으로 발전‧보완시킨 기술 방안은 응모할 수 있다. 넛지 방식 등을 활용하여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쓰레기 불법투기를 줄일 수 있도록 보상체계, 디자인적, 디지털 기술 등을 활용한 방안의 일부 또는 전체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 제안 내용을 포함해야 한다. 이 과제는 C등급으로, 천만 원의 포상금을 지급한다.

네 번째, 다양한 수단 등을 활용하여 지능화되고 있는 새로운 유형의 보이스피싱 여부를 빠르게 식별하고 사전에 알려주는 방안이다. 아이폰이나 최신 안드로이드 폰에서 통화녹음이 제한되는 기술적 한계를 고려해야 한다. 보이스피싱 관련 이미 개발된 종류의 모바일 앱 등 기존에 활용하고 있는 방식은 제외한다. 다만, 앱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새로운 방식, 기술을 적용하여 혁신적, 획기적으로 발전, 보완시킨 기술적 방안은 응모할 수 있다. 새로운 기법을 활용하여 지능화∙고도화 되고 있는 보이스피싱 유형 및 수단을 빠르게 식별하고, 보이스피싱 여부를 사전에 알려줄 수 있는 기술인 방안 등 구체적인 내용을 포함해야 한다. 이 과제는 A등급으로, 5천만 원의 포상금을 지급한다.

다섯 번째, 디자인 혹은 디지털 기술 등을 활용하여 운전자에게 소방차 전용구역 혹은 소화전 주변임을 인지시키거나 불법 주정차를 효율적으로 방지하는 방안이다. 과태료 부과, 단순 노면 디자인 등 기존에 활용하고 있는 방식은 제외한다. 다만, 기존방식이더라도, 혁신적, 획기적으로 발전‧보완시킨 기술 방안은 응모할 수 있다. 소방차 전용구역 내 혹은 소화전 주변 불법 주정차해결을 위해 구체적인 기술적 방안을 제시하여야 한다. 이 과제는 C등급으로, 천만 원의 포상금을 지급한다.

여섯 번째, 빅데이터 분석 또는 ICT 등 신기술 등을 접목한 농산촌 소각산불 유발 행위(예: 무단소각 등) 효율적 예방 방안이다. 산불 감시원 확대, 드론 활용, CCTV 등 기존에 활용 하는 방식은 제외한다. 다만 기존 방식을 혁신적, 획기적으로 발전, 보완시킨 아이디어는 응모할 수 있다. 소각산불 유발행위의 효율적 예방을 위해, 소각산불 발생 원인을 고려하여 구체적인 기술적 방안을 제시하는 내용을 포함해야 한다. 이 과제는 B등급으로, 3천만 원의 포상금을 지급한다.

일곱 번째, 디지털 기술 등을 활용하여 1인 여성 가구의 주거지 주변 안전위험(예: 전철역에서 집으로 가는 길에 발생하는 스토킹, 성범죄 등) 요소를 개선하거나, 위험 요인에 대해 신속 대응하는 방안이다. ‘여성안심귀가, 안심이 앱‘, 순찰 강화 등 현재 정부‧민간에서 활용하고 있는 방식은 제외한다. 다만, 기존방식을 혁신적, 획기적으로 발전‧보완시킨 아이디어는 응모할 수 있다. 주거지 안전 위험과 관련하여 유형별(심리적‧실질적 위험, 개인적‧지역적 위험) 혹은 전체에 대한 위험 요소 개선 혹은 신속 대응 방안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이 과제는 B등급으로, 3천만 원의 포상금을 지급한다.

여덟 번째, 사회적 디자인 또는 디지털 기술 등을 활용하여 실외구역(도로, 거리, 광장)의 금연, 흡연 구역이 잘 지켜질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다. 기존에 활용하고 있는 방식(흡연, 구역 구별을 위한 단순 표지 및 스티커 부착방식 등)은 제외한다. 다만, 기존방식이더라도, 혁신적, 획기적으로 발전‧보완시킨 아이디어는 응모할 수 있다. 다음 각 항목 또는 전체에 대해 흡연자의 인식과 행동의 변화를 유발(넛지 효과)할 수 있는 사회적 디자인과 디지털 기술, 또는 이 두 가지를 결합한 구체적인 방안을 포함해야 한다. 이 과제는 C등급으로, 천만 원의 포상금을 지급한다.

마지막은, 고령층의 디지털(키오스크, 스마트폰 등) 기반 생활 서비스이용(예: 기차 예매, 주문, 공공서비스 신청 등) 개선을 위한 디지털 정보격차 해소 방안이다. 어르신 대상 정보화 교육과 기존 사업이나 방식은 제외한다. 과기정통부에서 발표(6.22)한 '디지털 포용계획’의 상세 내용과 중복되지 않도록 작성해야 한다. 고령층이 디지털 수단을 활용한 생활 서비스 이용을 하는 데 있어 실제로 어렵게 여기는 지점을 명확히 제시하고 이에 기반한 활용도 개선방안을 제시해야 한다. 이 과제는 B등급으로, 3천만 원의 포상금을 지급한다.

9개 과제 중 하나 혹은 복수 과제에 응모하여 아이디어 혹은 기술적 방안(솔루션)을 제안할 수 있다. 하나의 과제에 복수의 아이디어를 제안할 수 있다. 다만 복수 아이디어를 제출할 경우, 별도로 분리하여 제출해야 한다. 공모 마감 전까지 아이디어 수정하여 제출할 수 있다.

접수방법은 먼저 인터넷에 ’도전.한국‘을 검색한 후,

https://www.gwanghwamoon1st.go.kr/front/methodPssrp/methodPssrpBbsViewPage.do?bbs_id=9067ba0524d34a4b9407d967dd679fd6&menu_id=434홈페이지에서 공모전 페이지로 이동한다. 참가신청서, 개인정보 활용 동의서, 아이디어 기획서를 작성 후 과제별 상세페이지에 ’해결방안 제출‘ 버튼을 클릭하고 제출하면 된다.

 

도전.한국 홈페이지

 

’도전.한국 대국민 아이디어 공모전‘ 관련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 https://www.gwanghwamoon1st.go.kr/front/intropage/intropageShow.do?page_id=b4d3b72d0209481e80050b34d7269ee7&menu_id=409 붙임 자료를 참고하길 바란다. 문의사항이 있다면 행정안전부 혁신기획과 (korea@nia.or.kr, 02-853-4323) 로 연락하길 바란다.

 



 

 

 

 

 

 

 

기사 출처

https://www.gwanghwamoon1st.go.kr/front/methodPssrp/methodPssrpBbsViewPage.do?bbs_id=9067ba0524d34a4b9407d967dd679fd6&menu_id=434

 

 
전체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