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5) 레바논의 폭발, 원인은 무엇인가
2020년
8월
작성자
dpwls4675
작성일
2023-01-01 23:18
조회
11
지난 8월 4일(현지시간) 오후 레바논의 베이루트 항구에서 대규모 폭발이 두 차례 발생하여 심각한 인명피해와 피해가 생겼다. 레바논은 서아시아의 지중해 동쪽 해안에 위치한 아랍국가로, 수도는 베이루트이다. 수도에서 대규모 폭발이 일어나자 주변 건물과 차량 등이 파손되었을 뿐만 아니라 희생자가 속속히 증가하고 있어 미셸 아운 레바논 대통령은 이에 대해 2주간의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수습 기간을 지내고 있다.

베이루트의 대폭발 원인을 알아보자.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질산암모늄’은 질산을 암모니아에 중화하여 생기는 화학물질이다. 이러한 질산암모늄은 고온, 밀폐 용기, 가연성 물질에 닿으면 폭발하는 특성이 있어 위험한 물질로 꼽힌다. 폭발 위험성이 있는 이 질산암모늄이 베이루트 항구에 있는 창고에서 대용량으로 약 6년간 방치되었고, 결국 폭발하게 된 것이다.

사실 폭발 사고가 생길지도 모른다는 사실을 레바논 정부는 지난 6년 동안 파악하고 있었다. 창고에 쌓여있던 약 2천 750톤의 질산암모늄은 2013년 11월에 압류되어 현재까지 안전조치가 없이 보관 중이었다. 이는 러시아의 기업인 소유의 몰도바 산적 화물선이 질산암모늄을 싣고 조지아에서 아프리카로 이동하던 중 선박의 고장으로 베이루트에 정박하게 되었고, 항구 이용료 미납으로 선주가 배를 포기하는 동시에 실려 있던 질산암모늄은 항구 인근 창고에 방치되게 된 것이다. 이후 종종 질산암모늄의 처리 문제가 제기되었지만, 정부 당국 아무도 책임지려 하지 않아 결국 폭발하는 참사가 생긴 것이다.


한편 레바논 베이루트 항구 폭발로 인한 피해로 슬픔에 빠진 국민을 위로하기 위해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피해 현장에 방문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정치권과도 대화를 할 것이다. 그들에게 개혁을 제안하기 위해 여기에 왔다.”고 하면서 “그들이 개혁하지 않는다면 큰 책임을 물일 것이다. 그대로 두면 레바논은 침몰할 것.”이라고 경고를 덧붙였다.

또한, 레바논 정부의 무책임에 대해 분노했었던 레바논 국민은 프랑스 대통령의 방문을 반기면서 시위를 시작했다. ‘혁명’이라는 구호를 합창하며 현 정권은 퇴진해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였고, 국민의 분노가 표출됐다. 시민운동가인 카림 에밀레 비타르는 “우리가 마크롱 대통령에 환호한 이유는 그가 ‘레바논 정권’의 문제를 말했기 때문이다. 그는 이 나라 지도자들과 달리 정말 레바논 사람들을 걱정하는 것처럼 보였다.”고 말했다. 마크롱 대통령의 방문을 계기로 레바논의 시위가 시작된 것이다.
몸이 나서는 시위 외에도 온라인으로도 지속적인 운동이 일어나고 있다. 지난 6일(현지시간) 독일 방송 도이체벨레(DW)는 아바즈(레바논 청원 사이트)에 차라리 프랑스의 통치를 받자는 청원운동이 있었다고 보도했다. 이 온라인 청원운동에 약 4만 4,000명이 서명했다. 아바즈에는 “정부의 무능으로 인해 체제가 붕괴되고 있으며 부패와 테러, 무장조직으로 레바논이 마지막 숨을 쉬고 있다.”고 하면서 “청렴하고 지속적인 통치가 정착되도록 10년 동안 프랑스의 위임통치로 돌아가는 게 바람직한 것으로 믿는다.”며 레바논의 현 정부를 비판하고 있다.
지난 8월 6일 저녁 국회의사당 인근에 모인 레바논 국민의 목소리가 점차 커지자 레바논 보안군과 경찰이 출동하여 수십 명의 시위대를 해산시키려고 최루탄을 발사하기도 했다. 이에 국영 NNA통신은 시위대가 불을 지르며 상점을 파괴하고 보안군에게 돌을 던지는 격한 행동으로 최루탄을 사용했다고 전했다.
이러한 재앙을 불러일으킨 질산암모늄은 현재 우리나라에도 존재한다. 레바논의 항구 대폭발은 남의 나라 일이 아니라며 국내 주요 화학 공단이 있는 지방자치단체도 긴급 안전점검에 나섰다.
울산에는 유해화학물질관리법상 연간 100kg 이상의 질산암모늄 이용을 허가받은 업체가 다섯 곳인 것으로 파악되었고, 이 업체들의 질산암모늄 총 규모는 10만 3천 톤에 다른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울산 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 관계자는 “질산암모늄 취급 업체는 매년 한 차례 정기적으로 시설 검사를 받고 있고 이번에도 긴급점검 한다.”며 “레바논 항구 폭발사고 같은 위험한 상황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한 바가 있다.
울산 외에도 충청남도의 서산에서도 시설 강화에 나섰다. 지난 4일 행정안전부의 주최로 서산시 대산읍행정복지센터에서 ‘대산공단 사고 발생 대응 태세 점점 회의’에 대한 시의 대응을 이야기하기도 했다.
한편 부산에서는 약 2,000톤에 달하는 질산암모늄이 부산항에 보관된 것으로 밝혀져 부산 시민들이 불안해하고 있다. 그러나 부산해수청에 의하면 부산항에 보관된 질산암모늄은 위험물안전관리법에 따라 ‘위험물 옥외저장소’에서 관리되고 있으며, 화재와 폭발을 우려하여 선박이나 건물이 없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고 한다. 또한, 부산해수청 관계자는 “레바논 사고 이후 일곱 가지 폭발사고 위험 물질과 관련한 부산항 보관 용량 등을 조사해 특별 관리를 실시하고 있으며, 안전하게 보관 중이라 폭발 위험성은 없다고 볼 수 있다.”고 주장하며 부산 시민들은 안심시켰다.

또한, 현 정부는 레바논에 적극 지원한 사실이 있다. 청와대가 주둔하고 있는 동명부대를 긴급 지원을 보내 현재 레바논에는 동명부대 280명이 근무 중이다. 동명부대의 긴급 출동 이외에도 100만 달러 규모의 긴급 지원을 하기로 결정했으며, 마스크 등의 생필품 6천 세트를 레바논 정부에 전달했다.
레바논 지원은 우리나라만이 아니라 유럽연합인 EU도 약 3천 300만 유로(462억 4천만 원)를 지원했다고 AFP통신이 보도했다. 또한, EU 집행위원회는 베이루트의 재건을 위해 추가 지원을 할 것이라고 말했으며, 샤를 미셸 EU 정상회의 상임의장은 8일 베이루트에 방문할 예정임을 밝혔다.
전 세계에 충격과 공포를 몰아주었던 레바논 베이루트 항구 대규모 폭발 사고는 레바논만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모든 국가들은 이번을 계기로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화재나 폭발 위험성이 있는 화학물질을 다루고 관리하는 관계자들도 항시 안전을 우선으로 두어야 하며, 법이나 규범을 의무적으로 지킬 필요가 있다.

이미지 출처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72480&cid=43667&categoryId=43667
https://www.yna.co.kr/view/AKR20200806001851079?input=1195m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00806/102336489/1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2008071544001&code=970209
https://www.yna.co.kr/view/AKR20200806169451079?input=1195m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5920848&plink=ORI&cooper=NAVER

▲ 질산암모늄
베이루트의 대폭발 원인을 알아보자.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질산암모늄’은 질산을 암모니아에 중화하여 생기는 화학물질이다. 이러한 질산암모늄은 고온, 밀폐 용기, 가연성 물질에 닿으면 폭발하는 특성이 있어 위험한 물질로 꼽힌다. 폭발 위험성이 있는 이 질산암모늄이 베이루트 항구에 있는 창고에서 대용량으로 약 6년간 방치되었고, 결국 폭발하게 된 것이다.

▲ 레바논 베이루트 항구 폭발 후 진화 작업하는 소방 헬기
사실 폭발 사고가 생길지도 모른다는 사실을 레바논 정부는 지난 6년 동안 파악하고 있었다. 창고에 쌓여있던 약 2천 750톤의 질산암모늄은 2013년 11월에 압류되어 현재까지 안전조치가 없이 보관 중이었다. 이는 러시아의 기업인 소유의 몰도바 산적 화물선이 질산암모늄을 싣고 조지아에서 아프리카로 이동하던 중 선박의 고장으로 베이루트에 정박하게 되었고, 항구 이용료 미납으로 선주가 배를 포기하는 동시에 실려 있던 질산암모늄은 항구 인근 창고에 방치되게 된 것이다. 이후 종종 질산암모늄의 처리 문제가 제기되었지만, 정부 당국 아무도 책임지려 하지 않아 결국 폭발하는 참사가 생긴 것이다.

▲ 베이루트 항구 폭발 전과 후의 위성사진
알자지라 방송은 지난 6일 레바논 보건부를 인용하여 인명피해를 밝힌 바가 있다. 이번 사고로 최소 157명의 사망과 약 5,000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한순간에 집을 잃게 된 사람은 약 30만 명에 달았다고 한다. 또한, 피해액은 약 150억 달라(약 17조 7,000억 원)로 레바논의 국내총생산(GDP)의 4분의 1이 넘은 수준의 금액을 잃었다.
레바논 정부는 이번 대규모 폭발의 원인인 질산암모늄을 보관하던 창고에서 근무하던 정비와 항구, 세관 관계자까지 18명을 심문했고 16명을 구금했다. 또한, 이번 참사에 대한 처벌을 약속한 바가 있지만, 이에 영국 일간 가디언은 기관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 공정한 조사를 기대하는 이는 별로 없다며 지적했다.
▲ 레바논 베이루트의 시민의 손을 잡고 위로를 전하는 마크롱 대통령
한편 레바논 베이루트 항구 폭발로 인한 피해로 슬픔에 빠진 국민을 위로하기 위해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피해 현장에 방문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정치권과도 대화를 할 것이다. 그들에게 개혁을 제안하기 위해 여기에 왔다.”고 하면서 “그들이 개혁하지 않는다면 큰 책임을 물일 것이다. 그대로 두면 레바논은 침몰할 것.”이라고 경고를 덧붙였다.

▲ “레바논 정부가 테러리스트다.”라고 적힌 종이를 든 한 시위 참여자
또한, 레바논 정부의 무책임에 대해 분노했었던 레바논 국민은 프랑스 대통령의 방문을 반기면서 시위를 시작했다. ‘혁명’이라는 구호를 합창하며 현 정권은 퇴진해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였고, 국민의 분노가 표출됐다. 시민운동가인 카림 에밀레 비타르는 “우리가 마크롱 대통령에 환호한 이유는 그가 ‘레바논 정권’의 문제를 말했기 때문이다. 그는 이 나라 지도자들과 달리 정말 레바논 사람들을 걱정하는 것처럼 보였다.”고 말했다. 마크롱 대통령의 방문을 계기로 레바논의 시위가 시작된 것이다.
몸이 나서는 시위 외에도 온라인으로도 지속적인 운동이 일어나고 있다. 지난 6일(현지시간) 독일 방송 도이체벨레(DW)는 아바즈(레바논 청원 사이트)에 차라리 프랑스의 통치를 받자는 청원운동이 있었다고 보도했다. 이 온라인 청원운동에 약 4만 4,000명이 서명했다. 아바즈에는 “정부의 무능으로 인해 체제가 붕괴되고 있으며 부패와 테러, 무장조직으로 레바논이 마지막 숨을 쉬고 있다.”고 하면서 “청렴하고 지속적인 통치가 정착되도록 10년 동안 프랑스의 위임통치로 돌아가는 게 바람직한 것으로 믿는다.”며 레바논의 현 정부를 비판하고 있다.
지난 8월 6일 저녁 국회의사당 인근에 모인 레바논 국민의 목소리가 점차 커지자 레바논 보안군과 경찰이 출동하여 수십 명의 시위대를 해산시키려고 최루탄을 발사하기도 했다. 이에 국영 NNA통신은 시위대가 불을 지르며 상점을 파괴하고 보안군에게 돌을 던지는 격한 행동으로 최루탄을 사용했다고 전했다.
이러한 재앙을 불러일으킨 질산암모늄은 현재 우리나라에도 존재한다. 레바논의 항구 대폭발은 남의 나라 일이 아니라며 국내 주요 화학 공단이 있는 지방자치단체도 긴급 안전점검에 나섰다.
울산에는 유해화학물질관리법상 연간 100kg 이상의 질산암모늄 이용을 허가받은 업체가 다섯 곳인 것으로 파악되었고, 이 업체들의 질산암모늄 총 규모는 10만 3천 톤에 다른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울산 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 관계자는 “질산암모늄 취급 업체는 매년 한 차례 정기적으로 시설 검사를 받고 있고 이번에도 긴급점검 한다.”며 “레바논 항구 폭발사고 같은 위험한 상황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한 바가 있다.
울산 외에도 충청남도의 서산에서도 시설 강화에 나섰다. 지난 4일 행정안전부의 주최로 서산시 대산읍행정복지센터에서 ‘대산공단 사고 발생 대응 태세 점점 회의’에 대한 시의 대응을 이야기하기도 했다.
한편 부산에서는 약 2,000톤에 달하는 질산암모늄이 부산항에 보관된 것으로 밝혀져 부산 시민들이 불안해하고 있다. 그러나 부산해수청에 의하면 부산항에 보관된 질산암모늄은 위험물안전관리법에 따라 ‘위험물 옥외저장소’에서 관리되고 있으며, 화재와 폭발을 우려하여 선박이나 건물이 없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고 한다. 또한, 부산해수청 관계자는 “레바논 사고 이후 일곱 가지 폭발사고 위험 물질과 관련한 부산항 보관 용량 등을 조사해 특별 관리를 실시하고 있으며, 안전하게 보관 중이라 폭발 위험성은 없다고 볼 수 있다.”고 주장하며 부산 시민들은 안심시켰다.

▲ 레바논 베이루트 항구 폭발 후 망가진 시설
또한, 현 정부는 레바논에 적극 지원한 사실이 있다. 청와대가 주둔하고 있는 동명부대를 긴급 지원을 보내 현재 레바논에는 동명부대 280명이 근무 중이다. 동명부대의 긴급 출동 이외에도 100만 달러 규모의 긴급 지원을 하기로 결정했으며, 마스크 등의 생필품 6천 세트를 레바논 정부에 전달했다.
레바논 지원은 우리나라만이 아니라 유럽연합인 EU도 약 3천 300만 유로(462억 4천만 원)를 지원했다고 AFP통신이 보도했다. 또한, EU 집행위원회는 베이루트의 재건을 위해 추가 지원을 할 것이라고 말했으며, 샤를 미셸 EU 정상회의 상임의장은 8일 베이루트에 방문할 예정임을 밝혔다.
전 세계에 충격과 공포를 몰아주었던 레바논 베이루트 항구 대규모 폭발 사고는 레바논만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모든 국가들은 이번을 계기로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화재나 폭발 위험성이 있는 화학물질을 다루고 관리하는 관계자들도 항시 안전을 우선으로 두어야 하며, 법이나 규범을 의무적으로 지킬 필요가 있다.

이미지 출처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72480&cid=43667&categoryId=43667
https://www.yna.co.kr/view/AKR20200806001851079?input=1195m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00806/102336489/1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2008071544001&code=970209
https://www.yna.co.kr/view/AKR20200806169451079?input=1195m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5920848&plink=ORI&cooper=NAVER
전체 0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