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웹진거북이

(200727) 코로나19로 등장한 온택트 시대

2020년
7월
작성자
권 미경
작성일
2023-01-02 23:55
조회
11
코로나19 발생 이후 우리는 예전과 조금 다른 일상을 보내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장기화되면서 사람들 간의 접촉을 최대한 피하는 ‘언택트(untact)’가 필요한 삶이 되었다. ‘언택트’는 접촉을 뜻하는 contact에 부정을 뜻하는 un을 합성한 신조어로 ‘비대면’을 뜻한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온라인쇼핑, 새벽 배송 등 비대면 서비스의 이용자 수가 대폭 늘었다. 문화 분야 역시 예외는 아니다. 전자책 및 오디오북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현재 공연장, 갤러리 등 오프라인 행사가 취소되고 휴관하는 상황이다. 이에 콘서트 및 공연, 뮤지컬, 연극, 오페라 등이 생중계 혹은 녹화중계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팬과 직접 만나지 않고 공연을 하는 ‘언택트’ 콘서트 붐이 일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언택트에서 더 나아가 온라인을 통해 외부와 소통하는 ‘온택트(untact + on)’시대에 도래했다.

 

슈퍼엠 비욘드 라이브

 

올 상반기 SM 엔터테인먼트는 지난 4월 네이버와 ‘비욘드 라이브’를 시작했다. 슈퍼엠, NCT127, NCT DREAM 등 6개 팀이 한 달간 무대에 올랐다. 전 세계 팬들과의 실시간 화상 대화, 증강현실(AR) 도입 등 신기술로 아티스트의 퍼포먼스를 감각적으로 전달하며 현장감을 끌어올렸고, 공연 별로 전 세계 109개국에서 10만 명 정도가 몰렸다. 또한, 빅히트엔터테인먼트 소속 그룹 방탄소년단이 ‘방방콘 더 라이브’를 선보였다. 양사 모두 온라인 티켓, 굿즈 판매, 광고 수익 등을 통해 200억이 훌쩍 넘는 수익을 올리며 언택트 공연의 가능성을 보여줬다.

 

유튜브 채널 케이크 팝

 

인디뮤지션 100팀을 온라인으로 공개하는 ‘스테이지앤플로: 홍대를 옮기다’(Stage&FLO: Hongdae)도 진행 중이다. 현장 공연이 중단되면서 공연을 하기 힘든 인디 뮤지션을 위한 프로젝트이다. 유튜브 채널 ‘케이크 팝’에는 지난 5월 30일부터 매일 한 팀씩 공개해서 현재 50팀의 영상이 올라와 있다. 100팀에는 신인급부터 노브레인, 브로콜리너마저 등 선배 급 인디 뮤지션까지 포함되었다. 발라드, 록, 국악 등 다양한 장르를 보여준다.

1995년부터 진행된 드림콘서트도 올해 언택트 공연으로 열린다. ‘제26회 드림콘서트 CONNECT:D’(이하 드림콘서트)가 오는 25일부터 26일까지 양일간 밤 9시부터 SBS 미디어넷 유튜브 채널 ‘The K-POP’을 통해 생중계된다. 이번 ‘드림콘서트’는 온라인 콘서트로 진행되는 만큼 관객들을 위한 VR, 4K UHD, 멀티캠, 버추얼 스튜디오 등 특별한 기술이 활용해 시각적 요소뿐만 아니라 세계 최초 EX-3D Sound 구현을 통해 오프라인 공연의 청각적 현장감을 지구촌 곳곳의 팬들에게 생생하게 전달할 계획이다. SBS 미디어넷 측은 “ ‘드림콘서트’는 사상 처음으로 언택트 공연으로 진행된다. 코로나 19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 세계인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전할 계획이다”라며 “안방에서 이번 콘서트를 함께 즐기며 K-POP 스타들과 교감할 수 있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공연뿐만 아니라 축제 또한 온라인으로 진행된다. '제23회 보령머드축제'가 코로나19 여파에 따라 온라인으로 처음 진행된다.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오프라인 못지않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번 축제는 ‘온택트(온라인-언택트)형’ 머드콘텐츠 도입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걸맞은 축제 및 대규모 행사의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보령축제관광재단 주관으로 지난 17일 개막한 이번 축제는 '집콕머드라이브'를 시작으로 3개 분야 9개 콘텐츠가 운영되고 있다. 국민 누구나 온라인으로 보령머드축제에 참여할 수 있고, 다양한 경품을 획득할 수 있다.

 

23회 온라인 보령머드축제 홈페이지


지난 15일부터 오는 28일까지 진행되는 '머드스노우앱체험 공모전'에 참여가 이어지고 있다. 휴대전화 앱 '스노우앱'에서 '머드 페스티벌' 필터를 클릭 후 사진을 찍어 페이스북 혹은 인스타그램에 해시태그를 입력, 업로드한 후 하단에 있는 공모참여 버튼을 누르고 기본자료 양식을 통해 제출하면 된다. 추첨을 통해 1위인 머드샷 10명에게 머드화장품과 지역 호텔 숙박권 및 관광체험권 등 75만원 상당의 '보령올인원기프트박스'를 제공하며, '나이스샷' 40명에게 내년도 머드축제 체험권, '아깝샷' 50명에게 머드화장품세트가 제공된다. 자세한 프로그램 내용은 홈페이지( http://www.mudfestival.or.kr/festival/view )를 참고하길 바란다.

 

신세계 TV 오싹 라이브 예고

 

미술 작품도 언택트의 주요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신세계 TV 쇼핑은 최근 모바일 생방송 ‘오싹 라이브’를 통해 박선민 작가의 작품 판매 방송을 선보였다. 신세계TV 쇼핑 측은 “온라인 전시가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 잡음에 따라 언택트로 누릴 수 있는 문화 상품에 대한 판매를 강화하고자 이번 방송을 기획했다”고 밝혔다. 또한, “본래 박 작가는 여러 갤러리에서 기획 전시를 선보일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취소됐다. 그 와중 새롭고 다양한 콘텐츠를 선보이며 소비자와 소통하려는 목적이 서로 맞닿아 협업을 진행하게 됐다”고 밝혔다. 예전에는 홈쇼핑을 통해 미술 작품을 구매하는 것이 어색하게 여겨졌지만, 언택트 소비가 자리를 잡으며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언택트는 문화, 체육계 전반의 변화를 가져왔다. 사람들은 접촉이 많은 영화관과 헬스장 대신 넷플릭스, 홈트레이닝을 돕는 유튜브 채널을 이용한다. 야구와 같은 스포츠도 현장 대신 집에서 경기를 시청하고 있다. 비대면이 일상화되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해 공연, 미술계는 오프라인에 비중을 두었던 과거와 달리 온라인 중심으로 변화를 맞고 있다. 집에서 손가락 터치 몇 번으로, 원하는 시간에 문화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 이는 시∙공간의 제약에서 자유로워진다는 장점이 있으나 이에 대한 우려도 있다. 바로 언택트 콘텐츠가 현장에서의 매력을 전달하기엔 한계점이 있다는 것이다.

가수, 배우와 한 공간에서 함께 호흡하는 즐거움은 온라인으로 모두 느끼기 힘들고, 그림이나 예술 작품은 화면을 통해 보는 것에 한계가 있다는 것이 큰 단점이다. 외부와 소통하는 사회 ‘온택트’가 오히려 외부와의 소통을 단절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있으며, 젊은 층이 아닌 중∙노년층의 경우에는 콘텐츠에 참여, 사용 방법을 몰라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단점이 크게 드러난다고 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잠잠해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 코로나 상황에서 언택트 문화는 더욱더 확산하고 발달할 것으로 예측한다. 앞으로 이런 추세가 장기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모든 연령대가 이용할 수 있도록 정보화 교육, 일상 속 디지털 이용교육, 쉽게 앱을 사용할 수 있도록 기능을 업데이트하는 등의 다방면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사진 출처

http://www.shinsegaetvshopping.com/broadcast/main

http://www.mudfestival.or.kr/festival/view

https://www.youtube.com/channel/UCG1TB23UZb_9gfwKaoUSoYg

https://twitter.com/smtownglobal

 

 
전체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