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웹진거북이

(210726) 메타버스 시대가 열리다

2021년
작성자
최정우
작성일
2023-01-04 15:38
조회
10

메타버스(metaverse)는 현실 세계를 의미하는 ‘Universe’와 가공, 추상을 의미하는 'Meta’의 합성어로, 3차원 가상세계를 뜻한다. 우주와 같은 비현실적인 공간뿐만 아니라 실존하는 장소까지 그대로 옮겨와 그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며, 메타버스를 통해 현실과 비슷한 또 하나의 세상에서 살아갈 수 있다. 오늘날 메타버스는 기존의 ‘가상세계’라는 개념에서 나아가, 인터넷 속에서 그치지 않고 현실 세계와 연결하면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이에 메타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메타버스가 미래 핵심 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다.



 


구글, 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 등과 같은 기업에서는 메타버스 기술에 많은 관심을 두고 지원하고 있으며, 요즘 청년들도 메타버스 기술을 활용한 여러 문화를 가지고 있다. 메타버스의 주 이용자는 1990년대 중반부터 2010년 후반에 태어난 이른바 ‘Z세대’들로, 유통기업들은 이들에게 현실과 가상세계에서 브랜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로블록스



 


가장 대표적인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꼽히는 미국의 로블록스(Roblox)는 다른 사람이 만든 게임을 즐기며 함께 어울릴 수 있는 서비스에서 한발 더 나아가 경제활동을 하는 공간까지 제공되면서 큰 인기를 누리고 있다.




국내에서 네이버 자회사인 스노우가 출시한 '제페토(ZEPETO)'는 3D 아바타를 만들어주는 플랫폼으로, 출시 2개월 만에 글로벌 다운로드 수 300만을 기록하고, 전 세계 35개국에서 무료 다운로드 순위 1위를 기록했다.



 












▲ 제페토



 


제페토는 3D 이미지뿐만 아니라 영상까지 만들어 이를 SNS에 공유할 수도 있으며, 어플 내에서 수많은 친구들과 아바타를 이용해 함께 놀 수 있는 플랫폼이 구축되어 있다.




오는 8월 편의점 CU는 제페토 내에 ‘CU 제페토한강공원점’을 개설할 예정이다. 이에 제페토 속 한강공원에서 CU 자체브랜드 제품을 비롯해 한강공원 대표 메뉴인 즉석조리 라면도 즐길 수 있으며, 가격은 실제보다 훨씬 저렴하게 판매된다. CU 본사 BGF리테일 관계자는 “오프라인에서 경험했던 CU를 온라인에서 만나는 등 고객에게 신선하고 재미있는 경험을 주기 위해 제페토와 협업을 진행했다.”, “제페토 사용자인 Z세대와 편의점 주 고객층이 겹치는 부분이 있는 만큼 브랜드 이미지나 상품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했다.”라고 밝혔다.



 












▲ 제페토 속 한강공원



 


GS리테일은 메타버스 형식으로 서비스 부활을 예고한 싸이월드와 협업할 것이라 밝혔다. 오는 11월 말, 싸이월드 내에 GS리테일 쇼핑 채널을 단독으로 개통하여, 향후 라이브 커머스 영역까지 카테고리를 확대하고, GS리테일 전용 미니홈피를 개설해 방명록을 작성하는 기능도 선보일 예정이다.




롯데하이마트는 지난 6월 게임 ‘모여봐요 동물의 숲’에 ‘하이메이드(HIMADE) 섬’을 개설했다. 하이메이드 섬은 게임에서 섬으로 연결되는 주소인 꿈번지를 입력해 접속할 수 있으며, ‘브랜드 포토존’과 가상으로 전시된 하이메이드 상품을 둘러볼 수 있는 ‘PR존’, 게임 이용자들과 소통할 수 있는 ‘마을회관’ 등이 마련되어 있다. 롯데하이마트 관계자는 “MZ세대들에게 하이메이드를 알리는 동시에 고객들이 제시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상품에 반영하기 위해 섬을 오픈했다.”라며 서비스 취지를 밝혔다.




패션업계는 옷으로 아바타를 꾸미고 개성을 드러내는 점을 겨냥하여 일찍이 메타버스에 진출했다.














▲ 구찌 의상을 입은 제페토 아바타



 


명품 브랜드 ‘구찌(Gucci)’는 제페토와 로블록스에 입점해 Z세대와 소통하고 있다. 현실에서 구매할 때 수백만 원을 호가하는 구찌 가방을 메타버스 안에서는 만 원 이내로도 충분히 구매할 수 있다. 제페토에는 구찌 외에도 다양한 명품 및 디자이너 브랜드, 캐주얼 브랜드가 입점해 있으며, 나이키, MLB, 푸마 등 스포츠 의류와 운동화도 선보이고 있다.




화장품 브랜드 ‘디올’ 역시 제페토와 협업을 진행하여 아바타 얼굴에 적용할 수 있는 페인팅 메이크업을 판매하고 있다.




메타버스의 범위가 점점 확장되면서 우리의 일상에서도 쉽게 만날 수 있게 되었다. LG화학 석유화학사업본부 신입사원들은 가상교육센터에서 아바타의 모습으로 가상공간을 이동하며 연수를 받았다. 또한, 지난 2020년 순천향대학교는 SK텔레콤의 ‘점프VR’ 플랫폼을 통해 마련된 가상공간에서 신입생 입학식을 진행했으며, 건국대학교는 가상공간인 ‘건국 유니버스’에서 학교 축제를 열기도 했다.



 












▲ 메타버스를 이용한 걸그룹 ‘에스파’



 


SM엔터테인먼트가 선보인 그룹 '에스파'는 실제 멤버 4명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여기에 멤버별 가상 아바타 4명을 더한 8인조 걸그룹의 설정으로 활동하고 있다. 빌보드 1위에 오른 BTS의 다이너마이트(dynamite) 역시 메타버스 기반의 온라인 공간에서 공개하였다.




이처럼 우리 일상의 다양한 곳에서 메타버스가 이용되면서 향후 메타버스의 확장 범위와 더불어 차세대 소통 방법으로써의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이미지 출처



https://blog.naver.com/sek4594/222150171514



http://www.bizion.com/bbs/board.php?bo_table=insight&wr_id=1301



https://sports.hankooki.com/lpage/economy/202107/sp20210721090021137000.htm?s_ref=nv



https://www.sedaily.com/News/NewsView/PhotoViewer?Nid=22OYLRHPND&Page=1



https://blog.naver.com/m20mjh/222365297061



전체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