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1018) MBTI 이야기 ② 각 유형 알아보기 (1)
지난 기사에서 언급했듯, 각 선호 유형의 조합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세분화할 수 있다. 이번 기사에서는 각 MBTI 유형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다.

▲ MBTI 도표
MBTI 검사를 개발한 마이어스(Myers)와 브릭스(Briggs)는 위의 사진과 같은 도표를 고안했다. 생각이 많은 내향성 I를 도표의 위쪽 두 줄에, 적극적이고 활동적인 외향성 E를 도표의 아래쪽 두 줄에 두고, 감각형 S는 도표의 왼쪽 두 줄, 직관형 N은 오른쪽 두 줄에 배치하였으며, 분석적이고 논리적인 사고형 T는 가장 왼쪽과 오른쪽에, 관계 지향적인 F는 도표의 중앙에 배치되었다. 이를 토대로 각 MBTI를 순서대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이에 앞서, 이어질 각 유형에 대한 설명은 선호 유형의 조합에 따라 나타나는 각 유형의 대표적인 특성이며, 각 유형에 해당하는 모든 사람의 특성과 일치하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밝힌다.
표의 가장 첫 번째 칸에 해당하는 MBTI는 내향형, 감각형, 사고형, 판단형이 조합된 ‘ISTJ’이다. 한국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유형이자, 청렴결백한 논리주의자라고도 불린다. ISTJ는 16개의 유형 중 가장 현실적이라고 표현될 정도로 사실에 근거하여 사고하기 때문에 이들의 행동이나 결정 사항에 대해 의심을 사지 않을 정도이다. 대체로 조용하고 신중하며, 철저함과 확실성으로 좋은 결과를 얻고자 한다. 또한,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특성과 더불어 책임감이 강하기 때문에 해야 할 것을 논리적으로 결정하고, 흐트러짐 없이 꾸준히 해나간다. 따라서 체계적으로 자신들의 일, 가정, 삶을 구성해 나갈 때 기쁨을 얻으며, 사리 분별이 뛰어나고, 전통과 성실을 가치 있게 여긴다.

▲ MBTI 한국인 비율
용감한 수호자라고 표현되는 ‘ISFJ’는 소중한 이들을 수호하는 데 심혈을 기울이는 헌신적이며 성실한 방어자형이다. 차분하고 조용하면서도, 다정하고 세심하다. 또한, 책임감이 강하여 자신들의 의무에 헌신적이며, 인내심이 강하기 때문에 이를 꾸준하게 실현해 나간다. 노고를 아끼지 않으며, 사려 깊게 행동하는 동시에 철저하고 정확한 특성이 있다. 이들은 타인의 느낌, 특히 자신에게 중요한 사람들의 느낌에 관심이 많고, 그들과 관련된 구체적인 것을 잘 알아차리고 기억한다. 따라서 타인의 감정 변화에 주의를 기울이며, 직장과 가정에서 정돈되고 조화로운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다.
선의의 옹호자라고도 불리는 ‘INFJ’는 조용하고 신비로우면서도, 샘솟는 영감으로 가득 찬 이상주의자라고 표현된다. 이들은 높은 통찰력을 지녀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기도 하는데, 아이디어, 관계, 물질 안에서의 의미와 연관성을 찾으며, 사람들의 동기를 이해하기를 원한다. 또한, 공동체의 이익 역시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에 공동의 선을 추구하기 위한 명확한 비전을 개발하고자 하면서도, 자신들의 확고한 가치와 신념을 바탕으로 열정적이고 양심적으로 수행하며, 자신의 비전을 수행하기 위해 사람들을 조직화하고 동기화시키기도 한다.
용의주도한 전략가라고도 불리는 ‘INTJ’는 상상력이 풍부하면서도 철두철미한 계획을 세우는 전략가이다.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정신을 지니면서도 의지가 강하고 독립적이다. 따라서 자기 아이디어를 실현하고, 목적을 성취하고자 하는 욕구를 지니고 있다. 또한, 분석적이고 회의적인 특성도 지니고 있어 사건의 패턴을 빨리 파악한다. 이에 해당 사건과 관련된 광범위한 설명과 더불어 전망을 제시하기도 한다. 이들의 특성은 일을 조직화하고 포괄적으로 수행하는 동시에 자신과 타인들에 대한 능력과 수행에 높은 기준을 지니고 있다.
대담하면서도 현실적인 ‘ISTP’는 만능 재주꾼이라고 불릴 만큼 다양한 도구 사용에 능숙한 탐험형으로, 백과사전형이라고 표현되기도 한다. 과묵하고, 상황에 대해 관조적이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할 때까지 조용히 관찰하지만, 한편으로는 적응력이 강하고 상황에 대해 유연해 문제가 발생하면 실행 가능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 빠르게 움직인다. 또한, 원인과 결과에 관심이 많고, 효율성에 가치를 둔다. 따라서 문제의 현실적인 원인을 분석하고 핵심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많은 양의 정보를 처리하여 사실을 논리적으로 구조화하고자 한다.
호기심 많은 예술가라고 불리는 ‘ISFP’는 항상 새로운 것을 찾아 시도하거나 도전할 준비가 되어 있는 융통성이 있는 성격이다. 또한, 성인군자형이라고 표현될 정도로 온화하고 다정하며, 정서에 민감하고 겸손하여, 자신에게 의미 있는 사람들에게 충실하며 헌신적이다. 일할 때는 자신만의 공간과 시간 안에서 일하는 것을 좋아하며, 자신의 가치를 중요하게 여긴다. 이들은 삶의 여유를 만끽하고자 하여, 현재의 순간과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즐기려고 한다. 따라서 논쟁과 갈등을 싫어하며, 자신의 의견이나 가치를 다른 사람들에게 강요하지 않는다.
상냥한 성격의 이타주의자로 열정적인 중재자라는 별명을 지닌 ‘INFP’는 건강하고 밝은 사회 건설에 앞장서는 낭만주의자이자, 이상주의자이다. 잘 표현하지는 않으나, 내적 신념이 강하여 자신에게 의미 있는 가치나 사람들에게 충성하며, 자신의 가치와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외부 세계를 원한다. 또한, 호기심이 많고, 어떠한 일의 가능성을 보는 경향이 있으며, 아이디어를 수행하기 위한 촉매 역할을 맡기도 한다. 또한, 융통성과 이해심이 많고 개방적이기 때문에 자신의 가치가 위협받지 않는 한 잘 적응하고, 수용하는 편이다. 따라서 사람들의 본질을 이해하려 하고, 이들의 가능성을 성취할 수 있도록 돕는다.
논리적인 사색가라고 불리는 ‘INTP’는 끊임없이 새로운 지식에 목말라하는 혁신가라고 볼 수 있다. 지적 호기심이 높으며, 잠재력과 가능성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이론적이면서도 추상적이며, 자신의 관심 영역에 논리적이고 이론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항상 분석적이고 회의적이며, 때로는 비판적이기도 하여 자신의 관심 분야에 있어 문제 해결에 깊이 집중하는 모습을 보인다. 대체로 타인과의 상호작용보다는 아이디어에 더 많은 관심을 보이기도 한다. 또한, 융통성과 적응력 있어 상황에 따라 여러 이론을 사회에 적용하고자 한다.

▲ 유형별 특징
이로써 MBTI 도표의 위의 두 줄에 해당하는 8가지 유형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어지는 다음 기사에서는 도표의 아랫부분에 해당하는 ESTP, ESFP, ENFP, ENTP, ESTJ, ESFJ, ENFJ, ENTJ에 대하여 다루어보도록 하겠다.
이미지 출처
https://blog.naver.com/topcns2017/222198049803
http://www.onejob.co.kr/bbs/board.php?bo_table=bbs_0500&wr_id=171
https://www.career4u.net/tester/mbti_intro.a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