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623) 수소차 vs 전기차, 장단점을 알아보자
작성자
이 은빈
작성일
2023-01-01 03:50
조회
4

▲ 친환경 자동차
환경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점차 높아지면서, 친환경 자동차의 선호도와 성장 속도 또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국내 친환경 자동차 판매량은 22만7천대로, 2019년 14만311대에 비해 61.7% 늘어났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국내 전체 자동차 생산량(189만대)의 무려 12%에 달하는 수치로 친환경 자동차가 10대 중 1대꼴로 판매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친환경 차의 정의는 무엇이고, 종류로는 어느 것이 있을까. 친환경 자동차는 에너지 소비 효율이 우수하며 무공해 또는 저공해 기준을 충족하는 자동차를 의미한다. 기존에 판매되던 내연기관차와 비교했을 때 이산화탄소의 배출이 적고 연비가 우수하다. 친환경 차의 종류로는 전기자동차, 태양광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연료전지 자동차, 천연가스 자동차 등이 있다.
이번 기사에서는 다양한 친환경 자동차 중에서도 석유를 연료로 하지 않아 빠른 개발과 함께 많은 관심을 끌고 있는 전기차와 수소차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전기차와 수소차는 공통적으로 전기를 동력으로 사용하며 엔진이 없어 질소 화학 물질과 같은 매연이 발생하지 않는 공통점이 있지만 전기를 얻어내는 방식에서 차이가 있다. 전기차는 전력을 사용하지만, 수소차는 수소탱크에 충전된 수소가 산소의 화학반응을 일으켜 전기를 발생시키며 운행된다.
전기차와 수소차 모두 매연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여기서 수소차는 수소와 산소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미세먼지 등의 불순물을 걸러낸다는 점에 전기차보다 더욱 친환경적이라고 볼 수 있다.

▲ 전기차 충전 모습
전기차는 고전압 배터리에 전기를 충전했다가 이를 전기 모터로 공급하는 방식으로 화석연료를 전혀 필요로 하지 않는다. 엔진이 없이 배터리와 모터로만 차량이 구동되며, 엔진이 없어 배출가스와 온실가스도 배출되지 않는다. 운행 중 소음 및 진동이 거의 없이 부드럽고 조용하게 달린다. 또한, 출발과 동시에 최대 회전력을 사용하여 가속력이 뛰어난 것이 특징이다. 전기차는 내부 구조에서 변속기 대신 감속기가 장착되어 있으며 부품 수는 약 1만 개로 내연기관차보다 40%가량 적다. 줄어든 부품 수로 인해 소비자는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업계의 전기차 충전요금 예상
전기차가 이러한 장점이 있는 반면, 단점 또한 존재한다. 전기차는 완속 충전 시간이 7시간에서 9시간 정도로 길고, 한 번 충전할 때마다 400km 정도의 비교적 짧은 거리만을 운행할 수 있다. 정부의 '탈(脫)원전' 정책으로 인한 전기차 충전료 인상도 고려해야 할 문제가 되었다. 게다가 값비싼 배터리 가격도 단점으로 꼽힌다. 실제로 전기차 가격의 30%는 배터리 가격에 해당한다고 한다.

▲ 현대자동차의 수소차 ‘넥쏘’
다음으로 알아볼 것은 수소차이다. 수소차를 떠올리면 수소폭탄을 연상시키며 위험할 것이라는 인식을 가진 사람도 있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수소차의 연료로 수소폭탄에 쓰이는 중수소가 아닌 자연 상태의 수소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차량 외부에서 충전하는 시스템인 전기차와 다르게 수소차는 연료전지 시스템을 이용해 차체 내에서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이 특징이다.
수소차는 전기차의 문제점을 어느 정도 보완하는 형태를 띠고 있다. 충전 시간과 주행거리, 최고 속도 등에서 전기차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 전기차에 비해서 충전 시간이 훨씬 짧고 주행거리도 길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전기차는 완속 충전 시간에 7~9시간이 걸려 400km 정도를 주행할 수 있지만, 수소차는 5분 충전에 600km를 운행할 수 있다.
그러나 수소차는 아직 수소 충전소 보급에 있어 많은 비용이 요구되어 보편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전기차 인프라 보다 훨씬 못 미치는 수준이다. 실제로 수소 충전소 하나를 설치하는데 30억 정도의 비용이 요구된다고 알려진다. 또한, 수소차는 전기차에 비해 2천만 원 정도 더 비싼 편인데, 그 이유는 부품 생산 단가가 매우 높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전기차와 수소차의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렇다면 이 같은 친환경 차를 구입할 때의 혜택으로는 무엇이 있을까. 우선, 친환경차를 구매하는 경우에는 국가보조금과 지방자치단체 보조금 두 가지의 차량 구매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 그 금액은 차종과 지자체에 따라 차이가 있다.

▲ 친환경 차의 세금감면 혜택
또한, 친환경 차 구매자는 혼잡 통행료 할인, 공영주차장 이용료 할인, 고속도로 통행료 감면 등의 혜택을 제공 받는다. 개별소비세, 교육세, 자동차 취득세 감면 등의 세금 감면 혜택도 얻을 수 있다. 구매 보조금 지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저공해차 통합누리집(https://www.ev.or.kr/portal/buyersGuide/incenTive)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환경을 보호하는 착한 자동차일 뿐만 아니라 연비도 우수하고 각종 혜택이 제공되는 친환경 차, 각각의 장단점에 대해서 꼼꼼히 알아보고 자동차 구매 계획 시 참고해 고려해보는 것은 어떨까.

이미지출처
http://www.kidd.co.kr/news/220953
https://news.naver.com/main/read.nhn?oid=028&aid=0002461115
https://news.naver.com/main/read.nhn?oid=020&aid=0003299873
https://www.taxwatch.co.kr/article/tax/2020/04/08/0002/naver
전체 0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